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제90호> 아픈 것도 서러운데_이재헌(청년정당 우리미래)

by 사람이 되어 숨을 쉬었다. 2019. 12. 11.

 

영화 <, 다니엘 블레이크>에서 평생 목수로 일한 다니엘이 심장병에 걸린다. 일을 더 이상 할 수 없는 그는 실업수당은 커녕 아무런 지원을 받지 못해 생계가 불가능한 처지가 된다. 그럼에도 싱글맘 케이티를 돕는다. 복지기관 벽에다 락카로 자신의 절박한 심정을 쓸 때 비굴하지 않고 꼿꼿한 그의 모습은 잊히지 않는다.

 

난 몇 년 전부터 무거운 것을 들거나 톱질을 할 때 왼쪽 어깨에 통증이 온다. 산판에서 돌아다니며 일당을 받고 일하고 무거운 체인톱을 무리해서 쓰며 어깨에 무리가 온 것이다. 일상에서 견딜만하지만 트리클라이밍을 하기에 무리가 있는 상태가 돼버렸다. 그 사이에 침도 맞고 정형외과도 수시로 들락 거렸는데 도통 낫지를 않는다. 일을 쉬어도 통증은 가시지 않았다. 오른쪽 어깨를 수술 했던 강남의 어깨 전문 병원을 다시 찾아 갔다.

 

십 년 전 오른쪽 어깨 보다는 상태가 좋아요. 한 달 정도 채외충격파와 조직 재생을 돕는 DNA 주사를 맞으면 완쾌 될 거예요.” 한 번에 20만원 가까이 하는 치료를 주 2회씩 받았다. 다행히 실비 보험이 있어서 가능했다. 하지만 한 달이 지나도 통증이 줄어들 뿐 완치가 안됐다. 한 달을 연장했다. 상황은 마찬가지다. 그 사이에 300만원 가까운 지출이 있었다. 완치가 안됐지만 치료를 끝내고 보험금 청구를 했다.

 

일 때문에 생긴 만성 질병이다. 산업재해지만 일용노동자 혹은 비정규직이였던 나는 산재를 한 번도 받아보지 못했다. 고모의 반 강요(?)로 들었던 실비보험이 없었으면 치료는 엄두도 못 냈다. 매 달 10 여만 원 보험료가 부담돼서 어머니가 내주신 적도 있었다. 보험을 못 드는 청년이나 노동자에 비하면 가족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나는 행운이라고 해야할까.

 

난 다니엘 블레이크처럼 평생 한 가지 직장에서 열... 일하지 않았다. 고령도 아니고 생계가 완전히 불가능하지도 않다. 하지만 그와 마찬가지로 하고 싶은 일이 있어도 질병이 걸림돌이 돼버렸다. 그리고 오롯이 모든 치료는 내가 감당해야 한다. 헌법에 적힌 행복추구권이나 건강할 수 있는 권리는 통증을 겪는 나에게 너무나 먼 이야기다. 내가 병원에 나오며 락카를 들고 벽에 분노를 토해내는 상상을 해본다. 아마 지금도 그런 절망을 느끼는 노동자들과 청년들이 많이 있겠지.

 

보험설계사 고모에게 영수증을 제출하고는 보험료가 부담된다고 3만원이라도 줄여보자고 했다. 고모는 이렇게 아파서 타먹고 뭘 줄이냐며 더 열심히 일해서 더 많이 안정적인 보험을 들라고 타박한다. 그게 현실적인 답일지 모른다. 그러나 원하던 원지 않던 돈을 벌어 병을 고치는 그 방식에 개인의 선택과 자유는 없다. 아프면 돈 걱정 없이 치료받을 수 있으면 좋겠다. 그럼 원하는 일을 원하는 시간만큼만 일하겠다는 꿈이 꿈같은 소리처럼 들리지 않을 테니까. 그리고 무엇보다 보험료 내지 않아도 될테고 말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