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거울54 <제65호> 손톱 끝 봉숭아 몇 밤만 지나면 질터인데..._이영희(회원, 원영한의원) “엄마, 벌써 반이나 없어졌어요.” 손톱을 들어 보이며 막내는 제법 심각한 표정을 짓는다. 어느새 저만큼 자랐는지 봉숭아물이 절반이나 지고 없다. “첫눈 올 때까지 있어야 첫사랑이 이뤄진다는데... 어쩌냐...” 농담 삼아 던진 말에 아이는 씩 웃는다. 무슨 소리냐며 펄펄 뛰지 않는 걸 보니, 뭐가 있긴 한가 보다. “엄마도 첫사랑 이루고 싶어요?” 대체로 둔한 편인 내가 유독 예민한 것이 있다면, 그건 피부다. 그래서 본의 아니게 화장도 못하고 악세사리도 착용하지 못한다. 그렇지만 1년에 한 번, 맘 놓고 멋을 부릴 수 있는 날이 있으니, 바로 봉숭아물을 들이는 날이다. 알러지 반응을 걱정하지 않고 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일이다. 뭐가 그리 바빴는지 어느 시골 마을 담장 밑에 피어 있는 봉숭아를 보고.. 2019. 9. 26. <제64호> 시절 인연_이영희(회원, 원영한의원) 서울엘 갔다. 오랜 친구들을 만나기 위해서다. 대학시절 거의 매일 붙어 다니던 친구들이다. 넷이 같이 모이기는 25년 만. 학교 졸업 후에 20년 가까이 소식을 모르고 지내다 어느 날인가 갑자기 보고 싶어 수소문을 했다. 다행스럽게도 어렵지 않게 연락이 닿았다. 라고 불렸던 친구는 이제 이마가 벗겨지고 살이 올라 별명이 무색해졌지만, 선한 눈빛은 그대로였다. 돌과 나무에 글과 그림을 새기는 전각예술가가 되어 있었다. 한 친구 - 친구라 말하지만 얼마 전에야 나이를 물어봤다. 학교 다닐 때, 덥수룩하게 늘 수염을 기르고 다녀 지레짐작 서른 가까이 되지 않았을까 했는데, 놀랍게도 나보다 달랑 5살이 많더라 - 는 출가하여 스님이 되었다. 하지만 40여명의 아이를 보살피는 아빠 스님이다. 또 한 친구, ‘노래.. 2019. 9. 26. <제63호> 선택한다는 것에 관하여_이영희(회원, 원영한의원) 큰아이 친구가 우리 집에서 생활한지 며칠이 지났다. 하룻밤 자고 가는 일은 자주 있었지만, 이번처럼 오래 있기는 처음이다. 갈아입을 옷도 챙기지 않고 온 걸 보니 ‘뭔 일이 있겠구나’ 짐작만 할 뿐, 물어보지는 않았다. “치킨 시켰는데, 우리 맥주나 한잔 할까?” 그렇게 시작된 이야기. “왜 우리 아빠는 저한테 아빠가 원하는 삶을 살라고 하는 거에요? 임용고시 준비할 때는 얼마나 잘해 주셨는데요. 하지만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하겠다 하니 그때부터 사람 취급을 안해요. 집에서 저는 투명인간이에요. 지난 1년 동안 아빠는 제 얼굴을 쳐다보지도 않았어요. 제가 무슨 말을 해도 무시해요. 엄마한테는 ‘애를 저 딴 식으로 키웠느냐’고 막말을 하세요. 호적을 파겠대요. 나가 버리래요. 그래서 나왔어요. 책상 위에 .. 2019. 9. 26. 이전 1 ··· 15 16 17 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