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식지606

<제94호> 올해에는... _이구원(다사리 장애인자립지원센터 활동가, 회원) 아직 새해 초이고 내가 쓰는 올해 첫 글이라 밝고 희망찬 글을 적어보고 싶었다. 하지만 인터넷을 훑어보다 김포에서 일가족이 생활고로 극단적인 선택을 했다는 기사를 읽게 되었다. 기사의 제목은 “1년 새 70여명 ‘일가족 극단적 선택’... 구멍 못 메우는 복지망”이라 적혀 있었다. 지난 한 해 동안 18가구, 70여명이 넘는 사람들이 생활고에 의해 목숨을 버렸다고 한다. 우선 과연 이러한 빈곤이 만들어낸 희생을 극단적 “선택”이라 부를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이 들었다. 선택이라는 건 다른 길이 놓여 있을 때인데 과연 그분들에게 다른 길을 선택할 수 있는 여지가 얼마나 있었을까? 내가 이런 말을 하는 이유는 이 소식을 담은 기사를 비판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그저 1년이라는 시간 동안 빈곤에 희생되어진 .. 2020. 2. 26.
<제94호> 벽제에서_박윤준(음성노동인권센터 활동가, 회원) 그곳은 벽제라고 불리는 곳이었다. 싸늘한 몸이 불구덩이에 들어갔다가 백골과 뼈부스러기가 되어나왔다. 백골은 살짝 힘을 주었을 뿐인데 바스라졌다. 나를 낳고 안았으며 장난치며 씨름을 하던 몸. 가끔은 때리고, 자주 소파위에 누워있었던 몸. 해고 통보를 받은 뒤엔 실없이 웃고, 암 선고를 받은 이후엔 말 없이 창밖을 응시하던 몸. 그 큰 몸이 산소호흡기를 달고 누워있던 중환자실에서는 왜소해보였다. 그리고 그 몸이 산산조각으로 으스러지는 순간은 내가 안주해오던 세계가 부서지기엔 너무 감쪽같이 짧았다. 남은 세 가족에게 닥친 시간들은 날카로운 파편이 되어 생채기를 내었다. 일상을 받치던 커다란 기둥 하나가 무너져 내린 느낌이었다. 그의 몸은 사라졌으나, 나의 의식과 몸은 ‘아빠가 있다’고 받아들이고 있었다. 그.. 2020. 2. 26.
<93호> 일꾼의 시방 여기 짧은 글 새해 새날을 맞이하며 생각한다. 나는 새사람인가? 새해 새날이라 해도 내가 헌사람이면 헌해 헌날이겠지? 새해 새날 오래된 질문으로 시작했다. 2020. 1.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