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식지606

<제92호> 하루 하루 감사_잔디(允) 요즘 나는, 하루 하루 아홉 사람과 감사 일기를 주고받는 지경에 이르렀다. 나와 연결된 타자들과의 감사를 주고받으며, 감사할 것을 찾기 힘든 날에도, 마음 저 밑바닥에 납작 엎드려있는 감사의 마음을 일으키기도 하고, 아~ 이렇게 감사 표현을 할 수 있구나, 이것을 감사할 수도 있구나 하는 것을 배우기도 한다. 감사함으로써 나에 대한, 상대에 대한, 세상에 대한 시선을 회복하거나 복원할 수 있다고 배웠다. 감사를 지속적으로 하면서 내면에서 일어나는 변화나 의미가 여러 가지 있는데, 태어나면서 가졌던 자연스러운 본성을 회복하는 기회이며, 자기 자신에 대한 시선의 전환을 할 수 있는 작업이고, 내 안에 있는 살아있는 에너지와의 연결이 일어나는 만남이며, 세상이 나에게 보내는 선물을 발견하는 시선 회복의 과정,.. 2020. 1. 8.
<제92호> 친절하게 웃어주면 결혼까지 생각하는 남자들?_이재헌(청년정당 우리미래) 당신은 페미니즘을 어떻게 생각하나? 페미니즘을 반대하는 이들이 말하는 것처럼 ‘이제는 여성이 더 살기 좋은 시대’라고 생각하나? 지난주에 청주에서는 처음으로 남성페미니스트 강연이 있었다. 강연자는 ‘친절하게 웃어주면 결혼까지 생각하는 남자들’의 저자 오마이뉴스 박정훈 기자였다. 책 제목을 보고는 피식 웃었다. 의도적으로 과장한 것 같은가? 웃고 나서 몇 초 뒤 웃기지 않은 기억들이 떠올랐다. 단지 후배가 다정하게 대했다는 이유만으로 나에게 호감을 가진 건 아닌가 착각했던 일들이다. 책 속의 남성들은 과거 나의 이야기이기도 했다. 강연의 시작은 박정훈 기자가 어떻게 페미니스트가 되었고 자신은 페미니즘을 잘 안다고 자부하였지만 정작 여성들의 입장에서 공감하지 못했던 자기 고백에 대한 이야기였다. 우리들 누구.. 2020. 1. 8.
<제92호> 시를 들려줘서 고마워_박현경(교사) ‘지각시’. 지각하면 외우는 시(詩). 우리 반 교실에서 자주 쓰이는 단어다. 처음 교사가 됐을 때, 반복해서 지각을 하는 학생들에게 자꾸 화가 났다. 그 학생들에게는 지각하는 습관을 안 고치면 나중에 사회생활을 어떻게 하려고 그러느냐, 등교 시간도 하나의 약속인데 약속을 계속 어기면 신뢰할 수 없는 사람이 된다는 등의 따분한 이야기를 격앙된 어조로 늘어놓곤 했지만, 정말로 그들의 미래가 걱정돼서 화를 낸 건 아니었다. 돌이켜 보면 내 분노의 이유는 두려움이었다. ‘나의 지속적인 지도에도 불구하고 이 친구들이 행동을 바꾸지 않고 계속해서 지각을 한다는 건 내가 무능한 교사라는 증거가 아닐까? 이러다 내 통제를 벗어나는 학생들이 점점 더 늘어나면 어쩌지?’ 지금 생각하면 안쓰럽고 웃음이 나온다. 자기 고유.. 2020. 1.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