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 소모임 일정 안내/남성페미니스트 모임 '펠프미'36 23.3.16 [페미니즘, 남성을 조립하다] 남성 페미니스트들이 주어진 위치에서 무엇을 해야 하는가에 대한 공론을 모아 낸 의미있는 책 배상철 사실 이 책의 제목을 처음 접했을 때 매우 흥미롭고 뭔가 도발적인 결론이 도출될 줄 알았다. 하지만 책을 읽는 내내 흥미로움보다는 답답함과 갈증만이 남는 듯했다. 책의 내용이 어렵거나 분량이 많아서가 아니라, 제목에서 주는 기대치에 못미쳤다는 실망감에서 기인한 탓 아닐까 싶다. 그 이유를 좀더 깊게 들여다 본다. 먼저 남성 페미니스트라는 위치에 대한 문제이다. 왜? 이 사람들은 어렵디 어려운 위치를 고민하는가라는 질문을 해놓고 이 책 어디쯤에 질문에 대한 답이 있는 것인지 눈을 씻고 찾아보아도 찾기 어려웠다. 그 이유는 아마도 책을 통해 삶의 경험을 공유하기보다는 독자로서 지적 호기심을 충족하는데 더 충실하.. 2023. 3. 16. 23.2.28 '여자를 위한 도시는 없다' 레슬리 컨 너의 면상에 이 책을 던진다 이재헌 “구조적인 성차별은 없다. 차별은 개인적 문제다.” “여성이 불평등한 취급을 받고 남성이 우월적 대우를 받는 것은 옛날이야기다.” 1년 전 윤석열 대통령이 공식석상에서 한 말이다. ‘여자를 위한 도시는 없다.’ 는 일상적인 공간과 제도가 얼마나 가부장적이고 철저하게 여성을 비롯한 사회적 약자들을 차별하는지 고발한다. 여기 언급된 많은 예시들을 보며 그것이 얼마나 차별적인지 인지하지 못하고 불편을 느끼지 못했던 내가 부끄러워진다. 같은 공간에서 개개인의 경험이 이렇게나 다를 수 있음이 쉽게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그만큼 이 도시공간에서 난 안전했고 기득권이었음을 깨닫는다. 그러나 지금 한국 사회의 많은 남성들은 윤대통령처럼 성차별을 부정한다. 오히려 역차별이라 고함치며 본.. 2023. 3. 2. <후기> 220720 『판을 까는 여자들』로라·신민주·노서영 『판을 까는 여자들』 (로라·신민주·노서영 著, 한겨레출판 刊, 2022) 이여라. 빛나는 언설 몇 그대루 옮겨유. 118쪽 총여학생회를 폐지시킨 권력 / 그저 투표가 곧 민주주의라고 여겨지는, 형식적 민주주의만 완수된 세상에서는 성공한 백래시가 ‘혁명’이 되는 법 – 어쩜 이리 간결허구두 뽀송뽀송헌 정리가 111쪽 누구를 위한 알페스 처벌법인가 / 알페스 처벌은 젠더 권력을 회복하려는 기획의 일부. 알페스 처벌법이 문제적인 것은 그런 기획을 국회 차원에서 끌어안았기 때문 – 문제 제기허구나서 단 4일만에 구킴 하태경이 발의허겄다구 즉시 반응 101쪽 N번방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 2016 강남역 여성혐오 살인사건 집회에선 ‘나는 운 좋게 살아남았다’, 2018년 혜화역 불법촬영 편파수사 규탄시.. 2022. 8. 2. 이전 1 ··· 6 7 8 9 10 11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