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권교육/일꾼의 탐독생활30

다시 페미니즘의 도전 “의심하지 않는 생각없음의 지옥도” 이은규 우리모두와 다른 단 하나의 생명체라도 그 존재를 부정하거나 외면해서는 안되잖아요. 집단이 갖는 권위와 권력으로 차이를 차별하는 것이 당연시되는, 아니 그렇게 학습 당해 온 생이 억울하지 않습니까? 그러지 않았다면 우리는 사회는 더 다정하고 살만하지 않았겠어요? 혐오와 불안, 공포와 학대가 만연한 현실은 의심하지 않고 받아들인 우리들의 생각없음이 만들어 낸 지옥도가 아닐까요? 책을 덮을 때 즈음 들었던 생각이다. “이 책이 쉽게 읽히지 않는, 논쟁의 불씨가 되는 텍스트이기를 바란다. 여성학, 여성 운동은 모든 담론과 마찬가지로 언어의 경합을 통한 생산적인 갈등 없이는 진전도 없다. 한국의 여성주의가 나아감 없이 여성의 생존의 목소리가 왜곡되어 미소지니의 타깃이 되.. 2024. 2. 26.
"우리 모두 리얼리스트가 되자" 눈부시게 불완전한 / 일라이 클레어 은규 일꾼 일라이 클레어는 장애 있는 생명들, ‘몸-마음’을 단순하게 정의했다. “눈부시게 불완전한 많은 존재들 중 하나인 채로, 모든 게 이토록 복잡하고 단순할 수 있을까?”라고. 비장애 중심주의, 이성애 중심주의, 백인 남성중심주의 등으로 세상을 보지 않는다면 일라이 클레어의 통찰에 수긍할 것이다. 그러나 눈부시지만 불완전한 몸-마음들은 제 눈에 낀 비늘을 벗겨 낼 엄두를 못 내고 있다. 외려 그것이 당연하고 자연스럽다고 으스대고 추앙하고 있는 세상이다. 장애인과 유색인, 낯선 타자를 비인간화하며 혐오와 차별 그리고 격리와 멸종의 넘쳐나는 사례들을 이 책에서 접할 수 있다. 장애인에게 치유의 이름으로 행해지는 의료 행위는 세계를 비장애 중심주의와 의료산업 복합체의 .. 2023. 10. 26.
"저마다의 방식으로 나를 먹여준 모든 어머니께" 저마다의 방식으로 나를 먹여준 사람들에게 이 책을 권합니다 이은규 전쟁 같은 맛은 회고록이다. 어머니의 삶에 대한 딸의 촘촘한 기록인 동시에 인간에 대한 섬세한 연대기다. 혈육으로서 한계를 뛰어넘는 보편성을 획득하는 까닭은 바로 ‘인간에 대한 섬세한 연대기’이기 때문이다. 일제 강점기와 해방, 그리고 한국전쟁을 겪은 후에 미군 기지촌 생활과 전쟁 신부로서 미국이민과 조현병을 경험한 어머니의 삶을 회고하는데 자신의 학문적 경험과 이론을 투사하고 있는 이 책은 동시에 필자 자신의 해방을 위한 여정의 성격도 띠고 있다. 어머니의 삶을 반추하며 자기 삶의 여정 또한 매우 솔직하고 꾸밈없이 털어놓고 있다. 어머니의 유산을 통해 딸은 이렇게 성장하는 중이라는 듯이 말이다. 양공주였던 어머니를 거부하지 않고 조현병에.. 2023. 9.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