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1048 <99호> 노래하고 춤추고 키스하는 사람들_박윤준(음성노동인권센터 활동가, 회원) 인생은 애저녁부터 고통 속에 파묻혀 있었다. 어딜 가나 못돼먹은 인간들은 있었고 꽤 많은 인간들은 괴롭힘을 당하며 지옥 같은 삶을 견뎌내야 했다. 아프리카 대륙에 살던 사람들은 제국주의 국가들이 만든 거대 선박에 태워져 노예로 팔려갔다. 가서 푼돈도 받지 못하고 고된 일을 해야만 했다. 그 중 스페인 선박을 타고 온 흑인들은 쿠바라는 스페인 식민지이자 섬나라에 내렸다. 그들은 사탕수수를 베고 설탕을 만들어 자신들이 타고 온 선박과 비슷한 배에 자루째 싣어야했다. 미국으로, 유럽으로 떠나갈 설탕들이었다. 설탕의 맛은 노예들이 처한 고된 노동과 가난과 비례하듯 달콤했다. 사는 일의 고달픔에 관해서는 사실 지구 반대편인 쿠바까지 갈 필요도 없다. 어제 오늘 이 나라에서 살아가는 일이 어디 쉬운 일인가. 사실 .. 2020. 7. 28. <99호> 그대에게 보내는 단어 일곱 번째_잔디(允) 여름밤. 보슬비에 젖어 싱그러운 빛깔이던 낮에 만난 원추리꽃, 비비추, 벌개취꽃, 삼잎국화는 어떤 마음 빛깔로 이 밤을 보내고 있을까 생각합니다. 그믐이라 오늘밤 하늘은 무척 어두운데, 짙은 어두움이 무서울까? 짙은 어두움이 감싸주는 포근함과 은은함으로 한 밤의 서늘함을 견디고 있을까? 아주 작은 기운과 아주 사소한 말의 기운에도 미세한 균열이 나는 마음을 간직한 저는, 쉽게 흔들리는 날이 있어요. 그런 날에는 애써 숨을 자주 멈춥니다. 숨을 밖으로 내보내고는 들이쉬지 않고 코를 감싸쥐고, 가만히 있는 것이지요. 신체를 과학적으로 연구하시는 분들은 숨 참기의 여러 가지 잇점을 이유를 들어 설명하는데, 저는 그저 숨을 멈추었다 갈급함으로 한껏 숨을 들이쉴 때, 그리고 가슴에서 쌕쌕 소리가 나는 날, 내 안.. 2020. 7. 28. <홍보> 인권연대 숨 소식지 100호 발행을 앞두고 축하의 메세지를 받습니다! 인권연대 숨이 2012년 3월 창립이후 매월 발행하고 있는 소식지가 곧 100호를 맞습니다. 인권연대 숨과의 인연 혹은 지역과 인권현안에 대한 의견들을 짧게 보내주시면 되겠습니다. 소식지 100호를 풍성한 목소리로 채울 수 있도록 함께 참여하여 주십시오. 글 마감은 8월 20일까지입니다. 8년하고도 4개월 동안 매월, 아니 매순간 함께 숨을 나누고 삶을 나누어 주신 여러분들에게 고마움을 전합니다. 2020. 7. 28. 이전 1 ··· 229 230 231 232 233 234 235 ··· 3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