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최신글1048

2022년 8월 소모임 일정 회원가입과 소모임 활동은 일꾼에게 연락 주십시오. - 010 9242 3988 인권연대 ‘숨’ 살림살이 계좌(CMS 신청 받습니다) 농협 301-0275-9517-91(예금주 : 인권연대 숨) 9월 ◉ 인문강독회 ‘새로 읽는 저녁’: 진행 정미진 일꾼 9월 5일(월) 오후 7시 인권연대 숨 사무실 ◉ 남성페미니스트 모임 ‘펠프 미’ 9월 7일(수) 오후 6시 30분 인권연대 숨 사무실 ◉ 나의 이야기 ‘새로 쓰는 저녁’: 진행 정미진 일꾼 9월 19일(월) 저녁 7시 인권연대 숨 사무실 2022. 8. 31.
<124호> 구원 일꾼의 시방 여기 짧은 글 최근 들어 절망감에 휩싸여 있었다. 계속해서 발생하는 사회적 죽음과 갈수록 악화되는 불평등에 우울감을 느꼈다. 인권과 현실사이의 괴리, 그 속에서 나란 사람의 한계가 느껴지며 무기력감에 허우적거렸다. 이러한 상황에서 장애인권운동활동가 대회에 참여하게 되었다. 기대치 않고 갔는데 예상보다 내 안의 활동과 현장에 대한 남아있는 열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자신과 조직의 취약함을 숨기지 않고 이야기를 나누었다는 점이 인상적이었다. 솔직히 난 괜찮은 척, 아무 문제없는 척 하며 살아갈 때가 많다. 이러한 나의 모습은 나를 더 괴롭게 만든다. 내가 앞으로 어떤 활동을 하며 어디에서 살아가고 있을지는 나도 잘 모른다. 여전히 언젠가는 활동을 접고 세상에 대한 관심을 끊은 채 살아가고 싶은 욕망이 있다. 이러한 .. 2022. 8. 31.
<124호> 책 숨, 슬기로운 탐독생활 기후정의 : 희망과 절망의 갈림길에서 - 한재각 지음 / 정미진 일꾼 ‘가장 무서운 것은 우리에게 주어진 시간이 10년도 남지 않았다는 사실 그 자체가 아니다. 현존하는 기술과 정책들의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이를 실현시킬 정치사회 세력을 결집시키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기후위기에 대한 문제의식과 국제규약은 1980년대부터 시도되어왔지만 이윤을 만들어내는 경제, 정치 체제, 불평등 구조 속에서 기후위기는 오히려 심화되었다. 전 세계 곳곳에서는 이미 기후위기로 인한 삶의 변화를 겪고 있다. 기후위기의 최전선에는 ‘온실가스 배출’의 최대 책임주체가 아닌 다른 이들이 서있다. ‘실현가능한 기후위기 대책’은 기후위기를 만들어 낸 불평등한 착취구조 겉에 녹색 포장지를 덧씌우는 것이 아니다. 현재의 경제, 정치체제가.. 2022. 8.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