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1059 <114호> 친구의 이혼_충북민주언론시민연합 활동가 계희수 얼마 전 고등학교 친구들을 만났다. 여덟 명 정도가 우르르 떼로 몰려다니던 때의 추억을 떠올리면 밤을 새도 모자랄 만큼이다. 그 중 둘은 결혼을 하고 아이를 키우고 있다. 오랜만에 딸을 키우는 A의 집에 모였는데 아기만 있고 남편은 없었다. A의 남편도 우리와 곧잘 어울리는 사람이었던 터라 안부가 궁금했다. 남편은 어디 갔냐고 빨래를 널고 있는 A에게 물었더니 친구가 어색하게 웃었다. ‘무슨 일이 있구나’, 묘한 분위기가 감지돼 더 말을 보태지 않았다. 밥을 먹고 3살짜리 딸아이와 한창 놀아주던 우리에게 A가 말했다. “나 오빠랑 이혼할 거 같아. 별거한지 두 달 됐어.” 우리는 크게 놀랐지만, 마치 짠 것 마냥 차분한 반응을 보였다. 별 문제 없어 보였던 친구의 겉과 달리, 마음고생이 심했던 모양이다... 2021. 10. 26. 홍보 <모두를 위한 모두의 도시_도시쏘댕기기> 숨 쉬는 '골목길'에 스며들다. 숨쉬는 '골목길'愛 스며들다. 11월 6일(토) 오전 10시! 일신여고 후문 동산교회부터 청주대 입구까지 골목길 나들이를 떠납니다. 함께하세요 ^^ ▶▶ 참가신청 : https://forms.gle/HtAoJiUtwiqnLFuC6 2021. 10. 21. ** 한두줄로 요약하는 일꾼의 탐독생활 ** <망명과 자긍심_일라이클레어> 망명과 자긍심 : 교차하는 퀴어 장애 정치학 _ 일라이 클레어 지음 구원일꾼 망명과 자긍심은 나의 지난 시간, 그 속에 인정하지 않고자 했던 그리움에 대한 감정들을 떠올리게 해 주었다. 한편으로는 힘들기도 했지만 묘한 위로도 받는 기분이었다. 일라이 클레어가 자신의 감정과 추구하는 정치적 방향이 조화를 이루며 나아가고 있다면 난 아직 갈등의 과정 중에 있다. 그렇기에 내가 나아가야 할 길이 많이 남아있음을 알려주는 책이기도 하다. 일라이클레어는 사회가 강요했던 비정상적 몸에 대한 관점들을 단호하게 비판하고 있다. 하지만 동시에 그 속에서 살아남은 사람들의 삶을 존중한다. 내가 배워야 할 삶의 자세라고 생각한다. 난 여전히 나에게 차별과 동정을 가하는 사람들에게 단호히 대처하지 못하고 머뭇거린다. 장애, .. 2021. 10. 13. 이전 1 ··· 175 176 177 178 179 180 181 ··· 3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