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1059 <113호> 최저임금 1만원 시대를 생각하며_ 서재욱(청주복지재단 연구위원) 내년도 최저임금이 9,160원으로 결정되었다. 올해보다 440원 오른 수치이다. 이로써 문재인 정부의 최저임금 인상률은 평균 7.3%를 기록하게 되었다. 박근혜 정부(7.4%)와 비교해도 큰 차이가 없는 수준이다. ‘최저임금 1만원’ 공약도 무산되었다. 물론 전반적으로 저조한 경기, 키오스크 등 무인화 기기의 발달, 코로나19로 인한 타격 등 객관적인 조건이 상당히 불리했다. 그런데 일각에서는 최저임금 인상이라는 방향 자체가 잘못된 것이었다고 한다. 과연 그러할까? 주지하다시피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최저임금은 일자리 감소의 원인으로 지목되었다. 그러나 최저임금은 2000년을 전후하여 근로빈곤과 불평등의 증가에 대한 문제의식이 확산되면서 다시 주목받게 되었다. 1999년 이후 법정 최저임금이 새로 .. 2021. 9. 30. <113호> 김어준과 진중권 그리고 유재석_이수희(충북민주언론시민연합 대표) 나는 한때 김어준과 진중권을 좋아했다. 그들의 말이 무척이나 합리적이고 세련됐다고 생각했다. 팟캐스트 를 들으며 김어준이 하는 이야기 한마디 한마디에 얼마나 귀 기울였는지 모른다. 나꼼수에서 나오는 이야기들은 너무나 흥미로웠다. 기존 언론이 하지 못하는 아니 안하는 이야기들을 들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을 둘러싼 여러 의혹들은 나꼼수 덕분에 잘 이해할 수 있었다. 무분별한 폭로가 아니라 팩트에 기반한 이야기라 나름 설득력이 있었다고 생각했다. 나는 이제 김어준을 좋아하지 않는다. 좋아하지 않는 수준을 넘어서 김어준이 문제가 많다고 생각한다. 김어준은 자신의 방송에서 “~일 것이라 추정된다. 절대 그러실 분이 아니다, 우연이다” 라는 식의 추정과 소설을 바탕으로 이야기한다. (김어준이 그렇게 이야기하면 또 .. 2021. 9. 30. <모집> 2021년 인권연대 숨 쉬는 강좌 : 우리의 연대는 지금, 안녕한가요? - 사회운동의 역사는 연대의 역사이기도 합니다. 사회의 불평등과 폭력에 함께 저항하고 변화를 만들어내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거대한 구조와의 싸움에서 한 개인은 연약하고 외롭습니다. 그때 서로에게 버팀목이 되어 지지해주는 ‘연대’는 인권의 가치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우리는 어떻게 ‘연대’하고 있을까요? 우리의 연대는 ‘지금’ 안녕한가요? 자율성과 다양성을 존중하며 이를 기반으로 하는 연대는 어떻게 가능할까요? 각자의 자리에서 우정 어린 연대를 꿈꾸는 이들과 함께 고민하는 자리를 마련합니다. ▶▶ 참가링크 https://forms.gle/rUz1hK6bEdGydc2F7 2021 인권연대 숨 쉬는 강좌 : 우리의 연대는 지금, 안녕한가요? 10월 7일부터 11월 10일까지 주 1회 온라인으로 진행하는 2021.. 2021. 9. 16. 이전 1 ··· 178 179 180 181 182 183 184 ··· 3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