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식지/일꾼의 시방 여기 짧은 글102

고맙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12월 4일 아침나는 몇몇 사람들에게 문자로 안부인사를 전했습니다. “굿모닝이 말을 나누고 싶었습니다.이 매우 사소로운 인사말이 귀하게 여겨지는 2024년 12월 4일굿모닝 여러분 굿모닝 대한민국” 12월 24일 아침 민주공화국 대한민국에서나는 여러분에게 인사를 전합니다. 2024년 한 해 동안 수고 많으셨습니다. 고맙습니다.2025년에는 사소로운 것들이 귀하게, 귀한 것들이 사소롭게 변화하는 일상을 살아내시기를 간절하게 기원합니다. 생명있는 모두의 숨이 평화롭기를 바라며. 2024. 12. 26.
뜨겁고 평등한 연대 탄핵! 하야! 퇴진! 구호가 난무하다. 국민 열에 일곱 아니 여덟이 저항하는 권력.마땅히 물러나야 한다.그런데 그런데 말이다. 물러난 다음에는? 배부른 자들은 나른하게 말한다. “일단은” “어쩔수 없잖아”“나중에”하며죽쒀서 개 주잖다. 또?!겪을만큼 겪었고 당할만큼 당했다.차별로 고통받고, 혐오로 움츠려 본 적 없는 이들이 아무렇게나 내밷는 말들이 악취를 풍기는 세상은 배부른 부자와 권력가를 빼고는 누구나 숨쉬기 힘든 세상이다.  ‘이러다 다 죽어!’오징어 게임이 된 세상을 끝장내야 한다.이 게임을 끝장낼 선명한 계획과 이를 실행할 힘을 이제껏 소외된 시민들에게서 찾는 사람과 사람들, 단체와 단체들, 정당과 정당들의 뜨겁고 평등한 연대를 바란다.21세기도 24년이나 흘렀다! 2024. 11. 25.
알맹이는 남고 껍데기는 가라 박성우 시인의 시집 ‘남겨두고 싶은 순간들’에는 많은 이름이 나온다.정읍 우체부 아저씨들 이름, 아파트 경비대장 아저씨 이름, 시골 이웃집 할머니 이름, 어린시절 친구 이름, 소록도 수녀님 이름과 우시몬 할아버지와 시인의 딸 이름. 이중에 가장 친근하게 달라 붙는 이름은 송앵순 할머니. 우리와 함께 살고 있으며 곁에서 숨 쉬고 있는 사람들의 이름을 호명하는 것이 이리도 푸근하고 공연히 위로받을 일인가 싶지만 한 사람 한 사람 이름이 호명될 때마다 그냥 감동스러운 시절이다. 우체부 아저씨와 아파트 경비대장 아저씨와 송앵순 할머니 이름은 남고! 현수막에 걸린 이름이나 뉴스에 나오는 이름들은 가라이~ 2024. 10.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