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식지/일꾼의 시방 여기 짧은 글102

별이 된 시인 “착한 사람들이 약한 사람들이 망설이고 겁먹고 비틀대면서 내놓는 말들이어찌 아름다운 별들이 안되겠는가아무래도 오늘밤에는 꿈을 꿀 것 같다내 귀에 가슴에 마음속에아름다운 별이 된차고 단단한 말들만을 가득주워담는 꿈을” - 신경림 시인 ‘말과 별’중 별이 된 시인의 꿈을 오늘 우리가 살았으면 합니다. 2024. 6. 25.
기억하기 위해 살아 5월은 기념일이 많은 달이다. 따지고 보면 특별하지 않은 날이 없다. 역사적인 날들만 특별하게 기념하는 것은 나머지 날들이 무용해서가 아닐 것이다. 그러나 기념하는 것과 기억하는 것은 다른 차원이다. 기념은 공인된 즉, 집단에 의해 합의되고 특정화된 것이고 기억은 시간과 공간을 가리지 않으며 누구에게나 차별없이 일상적인 것이리라. 기념도 좋지만 기억이 더 힘이 있는 까닭이다. 기억은 살게 하는 힘이 있고 살리는 힘이 있다. 기억은 역사를 밀고 간다. “잊지 못해 이렇게 살아. 기억하기 위해 살아. 잊지 않고 기억하는 또 다른 누군가를 기다리며 살아.”(한강, ‘소년이 온다’ 중에서)기억은 미래를 열어 줄 열쇠이기도 하다. 2024. 5. 27.
스스로 평화 ‘세상을 떠난 모든 이가 하느님의 자비하심으로 평화의 안식을 얻게 하소서’자주 암송하는 기도문이다.이 기도문에 기대어 별반 새로울 것 없는 간절한 기도문구를 쓴다.‘세상을 살고 있는 모든 이가 그 모든 이들 스스로의 자비하심으로 평화를 얻게 하소서’제발! 2024. 4.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