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식지/일꾼의 시방 여기 짧은 글106 알맹이는 남고 껍데기는 가라 박성우 시인의 시집 ‘남겨두고 싶은 순간들’에는 많은 이름이 나온다.정읍 우체부 아저씨들 이름, 아파트 경비대장 아저씨 이름, 시골 이웃집 할머니 이름, 어린시절 친구 이름, 소록도 수녀님 이름과 우시몬 할아버지와 시인의 딸 이름. 이중에 가장 친근하게 달라 붙는 이름은 송앵순 할머니. 우리와 함께 살고 있으며 곁에서 숨 쉬고 있는 사람들의 이름을 호명하는 것이 이리도 푸근하고 공연히 위로받을 일인가 싶지만 한 사람 한 사람 이름이 호명될 때마다 그냥 감동스러운 시절이다. 우체부 아저씨와 아파트 경비대장 아저씨와 송앵순 할머니 이름은 남고! 현수막에 걸린 이름이나 뉴스에 나오는 이름들은 가라이~ 2024. 10. 25. 남탓이로소이다 성적 좋은 이들이 검사가 되고 의사가 되고눈치 좋은 이들이 정치인이 되고 장차관이 되고그리고 싸운다 아귀다툼이다성적이 좋거나 눈치가 좋거나 그런 이들을 추켜 세웠다이웃과 공동체의 운명은 나 몰라라공부 잘한 놈들끼리 눈치 좋은 놈들끼리사람 목숨 따위, 공동체의 윤리 따위 하찮게 여기며너만 잘 살아라, 우리가 남이가 하며일본에 빌붙고 미국에 빝붙고 독재에 빌붙고 자본에 빌붙은무엇하나 제대로 청산하지 못한 일상이오늘에 참담한 자화상이며 이게 모두 남탓이로소이다 2024. 9. 26. 깨어나 제발 ‘하레세’고대 아랍에서 쓰던 말이래. 이 말의 뿌리는 탐욕, 욕심, 야심, 게걸스러움에 닿아 있지. 사막을 걷는 낙타가 아주 좋아하는 특정한 종류의 엉겅퀴가 있는데 낙타는 이걸 만나면 걸음을 멈추고 뜯어먹기 시작해. 억센 가시가 입안을 너덜너덜하게 만들어 놓고는 하지. 이때 입속에서 흐르는 피의 찝찔한 맛이 엉겅퀴의 맛과 섞이게 되는데, 낙타는 바로 이 맛을 너무나 좋아해 씹으면서 피를 흘리고, 피를 흘리면서도 씹어. 한도 끝도 없이 먹으려 하지. 억지로 그만두게 하지 않는다면 과다출혈로 죽을 때까지 계속 먹을거야. 이게 바로 ‘하레세’야.우린 역사가 시작될 때부터 서로를 죽여왔어. 상대를 죽임으로써 자기 자신도 죽이고 있다는 사실을 자각하지 못한 채로. 우린 우리 자신의 피에 취해 있는 거야.- Ome.. 2024. 8. 26. 이전 1 2 3 4 5 6 7 ··· 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