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최신글1016

<제85호> 구룡산은 어떻게 생각할까?_이수희(충북민주언론시민연합 사무국장) 구룡산을 파헤쳐 아파트 4천세대를 짓겠다는 인간들의 욕심이 공식화됐다. 지난 금요일(5월17일) 청주시가 구룡공원 민간사업 제안 공고를 했다. 시민단체의 반발로 도시공원위원회도 서면으로 심의하고 서둘러 결정했다. 지난 20년간 도시공원을 지키기 위해 아무런 노력을 하지 않았던 청주시는 이게 최선이라며 민간개발을 공식화했다. 민간개발을 부추긴 건 건설자본이 소유한 지역언론이다. 한범덕 청주시장은 구룡산은 지켜야하지 않겠느냐고 SNS를 통해 말하더니 얼마 있다가 꼬리를 내렸다. 들리는 얘기로는 언론의 압박 때문에 어쩔 수 없다고 했단다. 시민 보다는 건설자본에 꼬리를 내리는 시장이라니…. 그들은 숲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 것일까. 아파트를 지을 땅으로만 보는 걸까. 사실 지금 남아있는 도시 숲도 온전하지 않.. 2019. 10. 24.
<제85호> 우리 곁의 사라져가는 소중한 것들에 대하여_이재헌(우리미래) 5년 전, 낯선 도시 청주로 왔다. 대학원 생활을 하며 많은 스트레스로 우울할 때 집에서 가까운 구룡산을 자주 걸었다. 오솔길을 오르다보면 울퉁불퉁하지만 부드러운 숲길의 촉감이 느껴져 발바닥에 온 신경을 집중하게 된다. 딱딱하고 평평한 아스팔트에서는 느끼지 못하는 즐거움이다. 밤에 조용히 걷다보면 1~2시간은 금방 지나갔다. 타지 생활의 외로움, 공부 스트레스, 그리고 지도교수의 폭언에 지친 마음은 안정이 되곤 했다. 눈이 많이 오는 날은 구룡산이 더 고요해진다. 자동차 엔진소리는 아득해지고 숲길에서 자주 들리던 새소리나 산짐승 발자국 소리도 사라진다. 작은 숲에서 느낄 수 있는 구룡산의 안정감과 포근함이 좋았다. 사막 같은 도시 속에서 구룡산은 나에게 오아시스였다. 우리 곁의 자연은 예전 모습을 잃어가.. 2019. 10. 24.
<제85호>J에게 기대어..._잔디(允) 대추나무가 초록잎을 내는 시절. 대추나무의 초록잎을 보며, 봄이 완성되었구나 합니다. J군과의 인연으로 뵙게 되어 반갑고, 고맙습니다. 오늘 이른 저녁, 선생님의 전화를 받으며, J군과 함께 하시는 동안, 참고하시면 좋을 내용을 적어드리고자 이글을 시작합니다. 물론, 제 입장에서 서술하는 내용이니, 참고는 선생님의 선택...^^ 도움이 필요하신 분들을 만나면서 아니, 도움을 필요로 하시는 분들을 만나면서 늘 ‘도움’의 지점에서 여전히 많은 생각을 합니다. 제가 생각하는 지점과 제가 도움을 드리는 분께서 생각하시는 지점이, 내용이 다를 때에도 난처하거나 어렵습니다. 그 대상이 성인분일 때와 학생 혹은 아동일 때, 그때마다 고민의 깊이나 내용이 확연히 달라지기도 합니다. 제 생각에는, J군은 가정에서 기댈 .. 2019. 10.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