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식지/살며 사랑하며106 <제92호> 친절하게 웃어주면 결혼까지 생각하는 남자들?_이재헌(청년정당 우리미래) 당신은 페미니즘을 어떻게 생각하나? 페미니즘을 반대하는 이들이 말하는 것처럼 ‘이제는 여성이 더 살기 좋은 시대’라고 생각하나? 지난주에 청주에서는 처음으로 남성페미니스트 강연이 있었다. 강연자는 ‘친절하게 웃어주면 결혼까지 생각하는 남자들’의 저자 오마이뉴스 박정훈 기자였다. 책 제목을 보고는 피식 웃었다. 의도적으로 과장한 것 같은가? 웃고 나서 몇 초 뒤 웃기지 않은 기억들이 떠올랐다. 단지 후배가 다정하게 대했다는 이유만으로 나에게 호감을 가진 건 아닌가 착각했던 일들이다. 책 속의 남성들은 과거 나의 이야기이기도 했다. 강연의 시작은 박정훈 기자가 어떻게 페미니스트가 되었고 자신은 페미니즘을 잘 안다고 자부하였지만 정작 여성들의 입장에서 공감하지 못했던 자기 고백에 대한 이야기였다. 우리들 누구.. 2020. 1. 8. <제91호> 여성혐오, 왜 일상은 변하지 않는가_이재헌(청년정당 우리미래) 이제야 소설 「82년생 김지영」을 읽었다. 참 시끄럽던 책이다. 그 책 한번 SNS에 올렸다가 악플에 도배가 됐던 이들도 있다. 무슨 사회 전복이나 남성혐오라도 조장하는 내용이라도 들어 있는 책인 줄 알았다. 실제로 읽어본 이 소설은 단지 평범한 일상 속에서 여성들이 격어 봤을 법한 이야기들이었다. 육아 경험이 없는 나로서는 조금은 낯설고 거리감이 들기도 했다. 동시에 책 곳곳에서 주변 여성들을 공감하지 못했던 과거 내 모습이 힐긋 보였다. 사소한 일에 맹목적으로 어머니에게 의지했던 일들, 가족에게서 용돈이나 관심들을 독차지하며 여동생이 느꼈을 차별감을 무시했던 일들을 떠올리게 된다. 남성으로서 무지했던 나의 행동 때문에 여자친구들이 느꼈을 무수한 불편함들을 깨닫게 했다. 이 소설은 내 엄마와 여동생이 .. 2019. 12. 11. <제89호> 경쟁은 당신이나 하세요_이재헌(청년정당 우리미래) 당신은 매사에 경쟁적인 사람인가? 아니면 일 자체를 즐기는 사람인가? 작은 일 하나가 그 사람 성격을 살짝 보여줄 때가 있다. 로프를 걸고 나무에 오를 때도 그렇다. 사람들과 같이 체험하다 보면 누군가는 위를 보며 전력질주를 하고 누군가는 가지 위에 앉아 쉬면서 경치를 즐기기도 한다. 내가 있는 시소팀은 숲과 도시에서 사람들과 나무 모두가 건강하게 공존하는 문화를 만드는 것이 목표다. 우리 주요 업무 중 하나는 나무 가지치기나 위험목 제거 같은 직접 관리이지만 나무를 오르는 체험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인 트리클라이밍도 진행하고 있다. 트리클라이밍 프로그램을 내가 좋아하는 이유는 나무가 길가에 서 있는 장식품이 아니라 다른 동식물과 함께 숨 쉬는 생명이고 우리와 연결되어 있다는 경험을 공유할 수 있기 때문.. 2019. 10. 24. 이전 1 ··· 21 22 23 24 25 26 27 ··· 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