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교육45 <청소년 참정권> 6.1 전국동시지방선거 청소년유권자 인터뷰 ② 옥천고등학교 김성훈 대한민국에서 만 18세 청소년의 참정권이 보장된 지 2년이 지났습니다. 지난 2021년 12월 28일 국회에서는 공직선거법상 국회의원, 지방자치의회 및 지방자치단체장 선거에 참여할 수 있는 피 선거연령을 25세에서 18세로 하향했습니다. 선거를 나갈 수도, 투표할 수도 있는 만 18세 청소년들. 청소년의 정치참여와 선거의 현실은 어떨까요? 안녕하세요. 저는 옥천고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19살 김성훈입니다. 저는 인도네시아에서 살다가 중학교 때 한국에 들어왔고 전북 전주시에 살다가 일 년 전 옥천으로 이사를 왔어요. 전주에 있을 때부터 청소년의 정치참여, 참정권 문제에 관심이 많고 활동도 꾸준히 해왔습니다. 다양한 선거캠프에서 청소년특보, 생애 첫 투표 위원회 위원장 등의 역할을 하면서 청소년 정책도 .. 2022. 5. 17. <청소년 참정권> 6.1 전국동시지방선거 청소년유권자 인터뷰 ① 황지선, 김한봄 대한민국에서 만 18세 청소년의 참정권이 보장된지 2년이 지났습니다. 지난 2021년 12월 28일 국회에서는 공직선거법상 국회의원, 지방자치의회 및 지방자치단체장 선거에 참여할 수 있는 피선거연령을 25세에서 18세로 하향했습니다. 선거를 나갈 수도, 투표를 할 수도 있는 만 18세 청소년들. 청소년의 정치참여와 선거의 현실은 어떨까요? 안녕하세요. 충북 음성에 사는 21살 황지선, 충북 괴산에 사는 19살 김한봄 입니다. 선거방법이 생각보다 쉬워서 놀랐어요! 저는 이번 대통령 선거 때 처음으로 투표했어요. 투표방식이 엄청나게 복잡할 줄 알았는데 쉬워서 놀랐어요. 학교에서 학생회장 뽑을 때랑 똑같고 별다를 것 없더라고요. (황지선) 저는 생일이 8월이라 19살이지만 이번 대통령 선거 때도 지방선거 때도.. 2022. 5. 16. ** 한두줄로 요약하는 일꾼의 탐독생활 ** 미진일꾼 『무상교통』 김상철 ‘자유로운 이동이 자유로운 도시를 만든다.’ “대중교통의 변화가 암울한 도시의 현실을 얼만큼이나 변화시킬 수 있겠나?”, “대중교통은 사회적 약자의 복지 정도면 족하다”고 생각하는 이들에게 이 책을 추천한다. 저자는 ‘무상교통의 핵심은 자가용 이용자와 대중교통 이용자 사이의 사회적 자원의 배분, 그리고 공익성의 관점에서 어떤 ‘이동’이 사회적으로 보장돼야 하느냐는 가치의 문제이다.‘라고 말한다. 대중교통의 공공성을 확보하기 위한 정책에 ‘물먹는 하마’라는 꼬리표를 달 것이 아니라, 시민 이동권 보장에 빨때를 꽂아 세금을 잡아먹는 도둑을 찾아야 한다. 왜 지자체가 연간 몇백, 몇천억의 세금을 투자해도 대중교통의 공공성은 온전하게 확보되지 않는지, 대중교통의 가격안정과 노선의 공.. 2022. 3. 21. 이전 1 ··· 5 6 7 8 9 10 11 ··· 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