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최신글1047

2019년 1월 소모임 일정 - 1월 방학입니다. 2월에 만나요~ 인권강독회 수요 모임 : 잔인한 국가 외면하는 대중 - 스탠리 코언 著 ◎ 일정 및 장소 : 매주 수요일 저녁 7시 두꺼비 생태문화관 인권강독회 목요 모임 : 시스터 아웃사이더 - 오드리 로드 著 ◎ 일정 및 장소 : 격주 목요일 저녁 6시30분, 숨터에서 인권평화기행 - 평화의 숨 ◎ 일정 및 장소 : 매월 1회, 저녁7시 숨터에서 나를 바라보고 바로 보는 숨날(명상모임) ◎ 일정 및 장소 : 매월 1회 둘째주 화요일 숨터에서 2019. 10. 22.
<제80호> 시방 여기 일꾼의 짧은 글 시방 여기 일꾼의 짧은 글 태안화력발전소 비정규직 노동자 김용균의 죽음을 보았습니다. 2018년 겨울, 지금 여기 이야기입니다. 삼성 이재용은 재판중임에도 대통령과 함께 인도도 가고 북한도 가는데 가서 인도커리도 먹고 평양냉면도 먹는데 컵라면에 의지한 비정규직 목숨들은 무정한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삶이 찢겨져 나가고 있습니다. 무엇이 문제일까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생전에 김용균은 다음과 같은 내용의 피켓을 들고 사진을 찍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비정규직 노동자와 만납시다. 노동악법 없애고! 불법파견책임자 혼내고! 정규직전환은 직접고용으로! 2019. 10. 22.
<제80호> “삶이란, 주룡처럼 사랑하는 이의 손을 잡고 투쟁하는 것”_이수희(회원, 충북민주언론시민연합 사무국장) 컨베이어 벨트에 사람이 끼어 죽었다. 시신은 여기저기로 흩어졌고 수습도 한참이나 지나서 했단다. 너무나 어둡다고 작업장 좀 환하게 해달라고 요청했지만 묵살당해 휴대폰 불빛에 의지하고 본인이 구입한 손전등으로 작업을 했단다. 그의 유품에서도 컵라면이 나왔다. 석탄 먼지 가득한 곳에서 주린 배를 컵라면으로 채워가며 희미한 불빛에 의지해 홀로 거대한 컨베이어벨트 앞을 지켰을 그를 생각하니 눈물이 솟구친다. 그렇게 사람이 또 죽었다. 아주 오래전 일도 아니고 바로 지금 말이다. 태안화력발전소 노동자 김용균 씨의 죽음은 너무나 참혹하고 참담하다. 우리가 이렇게 살아가도 괜찮은 걸까, 자꾸만 질문하게 되는 죽음이다. 왜 세상은 좋아지지 않는 것일까. 왜 노동자들은 여전히 제 목숨을 내건 투쟁을 해야만 하는 것일까... 2019. 10.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