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식지/마음거울93

<제56호> 古代 인류가 인식해온 죽음과 영생(來世)의 의미_정태옥(회원) 종교인이 아니더라도 어른이라면 누구나 한번은 자신의 죽음에 관해 깊이 생각을 해보았을 것입니다. 웃고 울고, 기뻐하고 슬퍼하고, 행복에 겨워 삶이 밝다가도 절망의 심연 속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이 존재가, 어느 날 갑자기 죽음이라는 침묵으로 우리에게 다가왔을 때 당황을 넘어 비통에 빠져 무기력을 실감합니다. 오늘날 모든 종교가 영생(내세)을 강조하고 있어 영생은 소망이 아니라 실재라 설교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영생은 살아서 가는 곳이 아니라 죽어야 가는 곳으로 믿고 있어, 우리는 죽음에 관해 세 가지 의문을 가질 수밖에 없습니다. 하나는, 영생은 소망인가? 아니면 실재인가? 이고, 다른 하나는, 영생이 실재라면 죽어야만 가는 곳인가? 아니면 살아서 가는 곳인가? 입니다. 만약 살아서 가는 곳이라면 왜 인간.. 2019. 10. 22.
<제54호> 떼이야르 드 샤르댕의 사상Ⅴ. 오감을 통해 인식된 정보의 축적 - 의식(2)_정태옥(회원) 우리는 뇌에 정보의 축적을 통해, 사과나 강아지를 직접 보지 않고도 그것의 모양, 색깔, 맛, 소리, 등을 머릿속에 이미지를 떠올릴 수 있는 개념을 형성할 수 있다. 만약 동물이 오감을 통해 인식된 정보가 뇌에 저장(축적)되지 않았다면, 마치 지구는 온통 식물만의 세계가 되었을 것이다. 다행히 정보의 축적은 개념형성을 가능 하게 했으며, 개념의 축적은 다발을 이루어 관념을 형성 하였다. 또한 관념은 순차성으로 또는 동시성으로 개념을 인식하여 판단하고 선택하는 과정이 사고(思考)로 나타나며, 사고(思考)의 결과물이 사상으로 표출된다. 그 외 상상, 회상, 기억, 지식 등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의식현상’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그 본질에서 인간과 동물이 다르지 않다. 다만 동물에서는 인간과 같이 .. 2019. 10. 22.
<제54호> Ⅳ.생물에서 ‘물질의 정보화 현상’- 의식!_정태옥(회원) 오래 전부터 인류는 인간에게는 영혼이 존재하고 있어 이성, 윤리, 도덕 등 사회성은 물론, 의식과 정신은 영혼의 현상으로서 인간 고유의 영역으로 인식해왔다. 인간의 죽음 또한 영혼과 육신이 분리하는 이원론으로서 형이상학과 개체성으로 믿고 있다. 여기에는 ‘정적인 세계관’에서 형성된 종교의 철학과 신학이 크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오늘날 우리들 대부분은 별, 산, 생명이 걸어온 기나긴 과거 등이 한곳에 고정된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인정하면서도, 아직도 우리 자신은 마치 고정되어 있는 듯한 착각 속에 빠져 있다. 그러나 모든 인류가 ‘정적인 세계관’으로 세상을 인식한 삶은 아니었다. 밤하늘의 무수히 반짝이는 별들, 산과 들에 피어난 꽃과 그 곳에서 뛰어노는 동물들이 인간의 내면이라 처음으로 인식한 것은 .. 2019. 10.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