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최신글1047

<제86호> 애국심 같은 소리하네_이재헌(청년정당 우리미래) ‘난 홍콩인이다. 중국인이 아니다.’ 미국 보스턴에서 유학중인 홍콩 출신 대학생 후이는 같은 지역 중국유학생들에게 공격을 받고 있다. 그가 기고한 칼럼 때문이다. 후이는 출신국에 대한 질문에 홍콩이라고 대답했지만 중국인들은 ‘홍콩이 아니라 중국’이라고 화내며 억압했다. 이 배경을 설명한 후이의 칼럼에 중국인 유학생들이 격한 반감을 표했다. 일부는 중국에 대한 무시라며 그를 처형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이런 중국 유학생들이 치기 어려 보이는가? 사회주의에 세뇌된 국수주의자들로 보이는가? 우리는 다르다고 할 수 있을까? ‘애국심이란 개인의 이익과 국가의 이익이 충돌할 때 국가의 이익을 우선 선택하는 것. 국가를 위해 자신의 소중한 것을 포기할 수 있어야 한다.’ 이것은 군사정권 때 내용이 아니다. 2015년 국.. 2019. 10. 24.
<제86호> 나는 여전히, 시인이 되고 싶어라_잔디(允)  미희가 있었지. 내 인생에, 초등 3학년 때부터 스무 몇 살까지 미희가 있었다. 초등학교 3학년 겨울방학부터 미희와 나는, 농구부에서 교대로 센터 역할을 했다. 농구부 언니들에게 경기 진행을 능숙하게 못한다고 혼날 때에도 서로 위로해 주고, 더운 여름 날, 순발력 향상 훈련한다고 왼쪽으로 뛰다가, 호루라기 소리가 들리면, 방향을 바꾸어 오른쪽으로 뛰는 것을 한참 한 후 숨이 헉헉 거릴 때에도 조금만 더 참자는 눈빛을 주고받던 미희. 이런 저런 연유로 6학년이 되어서는 농구부에서 나와 서로의 집으로 마실을 가서 떡볶이를 해 먹기도 하고, 어딘가에서 빌려온 만화책을 보며 깔깔거리던 그때... 미희네 집 뒷마당엔 오늘처럼, 빨간 양귀비꽃이 피어있기도 하였다. 우리 집에 놀러오면, 집에서 붕어빵 봉지를 접는.. 2019. 10. 24.
<제86호> 얼마나 먼 길을 달려 우린_박현경(교사) 일요일 아침. 일억 오천만 킬로미터를 달려온 햇살이 우리 방에 쏟아진다. 일주일을 달려온 우리 몸은 햇살에 녹는다. 내 옆에 누운 그대의 잠든 얼굴을 본다. 그 옆에 누운 왕순이의 갸르릉 소리를 듣는다. 우리가 함께 있다는 건 얼마나 놀라운 일인가. 이렇게 나란히 아침볕을 쬐기까지 우린 얼마나 먼 길을 달려 서로에게로 왔는가. 그대는 그해 여름 참 많이 달렸다. 저녁부터 새벽까지는 오토바이를 타고 달렸다. 날마다 짧게는 여덟 시간, 길게는 열한 시간 동안 주로 곱창볶음이나 찜닭을 싣고서 원룸촌 골목골목을 달렸다. 야식집 ‘왕십리 순대곱창’에서 일한 지 일 년쯤 돼 가고 있었다. 야식을 주문하는 이들은 대개 혼자 사는 사람들이었고 그대도 일을 마치면 혼자만의 방으로 돌아가곤 했다. 그리고 아침이면 두 다리.. 2019. 10.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