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식지/마음거울98

<제48호> 왜 AlphaGo인가!정태옥(회원) AlphaGo는 한 개의 기계가 아니다. 수천 명 바둑정보가 수렴된 하나........ 인류의 공유력이다. “가장 부패하기 쉽고, 가장 나약한 단백질 – 생명이, 어떻게 가장 단단한 다이아몬드에 바늘구멍을 뚫을 수 있는가!” AlphaGo가 그 답을 제시하고 있다. DNA-생명권 공진화의 정점에서 출현한 인류는 개체가 하나의 생명권이다. 유리창 너머 생명권(피라미드 형 '먹이사슬')이, 인간 개체에 존재하는 약30억 개 ‘RNA - DNA’ 단백질 정보의 현상이다. 인간의 ‘내면’이다. 인간은 10개월 동안 엄마의 뱃속에서 압축된 약40억 년 '지구 생명사'의 되풀이다. 오늘날 ‘인간 게놈 프로젝트’에 의해 DNA의 약30억 개 염기서열의 구조가 규명되었지만, 그 정보가 무슨 뜻인지 알고 있는 범위는 겨.. 2020. 6. 16.
<제49호> 무엇을 어떻게 내려놓아야 하는가... _ 임경미(옥천장애인자립생활센터 소장) 뜨겁게 내리는 5월의 햇살은 마치 한 여름을 느끼게 한다. 이르게 찾아온 더위로 사람들의 옷차림도 가벼워지고, 그 가벼운 무게만큼 마음도 가볍게 아무 생각 없이 어디론가 훌쩍 떠나고 싶다. 그러나 현실에서 다 내려놓고 누구도 생각지 않고 오직 나만을 생각한다는 게 쉽지 않은 일이다. “오지랖이야, 오지랖” 눈 감고 지나가고 안 보려하면 될 것을 그냥 지나치지 못하는 것도 병인 듯하다. 5만의 인구의 인권을 지키겠다는 인권조례가 지난해(2015) 6월에 입법예고가 된 적이 있다. 인권조례의 내용을 보고서 그냥 있을 수 없을 만큼 논의가 필요했다. 몇몇의 같은 생각을 갖은 이들과 함께 이의 의견서를 내고 기자회견과 함께 답변을 요구한 바가 있다. 그 이후 이의신청 내용과 의견서를 적극 반영하여 재검토후 함께.. 2020. 6. 16.
<제49호> <떼이야르 드 샤르댕 사상>Ⅱ. 생명은 물질이 ‘불멸성’을 획득한 정보이다!(생명과 생물) _정태옥(회원) 옛 부터 특히, 불교 철학과 샤르댕의 사상에서 '생명은 하나다'라고 인식해왔다. 그러나 사실 우리들 대부분은 - 모든 생물에서 '살아 있다'는 공통점이 있기는 하지만 - 소나무, 강아지, 인간이 그 생물種의 독특한 특성 때문에 '하나의 생명'으로 인식하기가 쉽지 않았다. 지금까지 우리는 생물을 통해 생명을 인식해왔기 때문에 대부분 생명과 생물을 동의어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생명현상‘을 관념으로 인식함으로써 생명과 생물의 같은 점과 다른 점을 명확히 구분하기 어렵다. 식물에는 생혼, 동물에는 각혼, 인간에게는 영혼의 존재를 인식해온 창조론에 길들여진 사람들에게 '생명‘은 神의 영역이다. 오늘날 생물학은 ‘생명현상’에서 ‘살아 있다'는 의미는, 생명(체) 내에서 단백질의 생성과 소멸을 의미한다. 물질(무.. 2020. 6. 16.